오늘의 조별 활동 중 진행할 사전퀘스트는 아래 아티클을 읽고 조원들간의 insight를 공유하는 것이다.
[데이터분석]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 by 코크리 | 모두의연구소 기술 블로그 (medium.com)
[데이터분석]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와 필요한 역량에 대해 설명합니다.
medium.com
[주제] [데이터분석]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 들어가며
-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란?
-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나요?
[아티클 요약]
- 데이터 분석가 - 기획자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 개발자
- 데이터 분석가는 기초 통계학적 지식을 지니고 domain 지식으로 raw data에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여러가지 질문과 문제에 대한 해답과 솔루션을 제시하는 일을 한다.
- 수치를 보고 좋은지, 나쁜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산업군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 자신이 해당하는 도메인 혹은 목표로 하는 도메인이 있다면 Kaggle을 통해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들이 각 도메인별로 어떻게 문제를 접근하고 풀어가는지 참고하고 배우는 것도 좋다.
- Kaggle 입문하기 (캐글(Kaggle) 입문하기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역량: 문제 해결, 의사소통, 결론 도출 이다.
- 문제해결: 실제 업무를 맡아서 진행하다 보면 내부 고객이 원하는 데이터를 명확하게 알아야 그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데이터가 없다면 내부 데이터를 요청해야 한다.
- 의사소통: 데이터 분석가는 본인이 분석한 결과물을 듣는 사람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결과를 공유하고, 공유한 내용에 대한 질문에 답하거나 해결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용어 또는 요약 내용을 적게 나마 그래프/도표 밑에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용어들
- YoY (Year on Year) :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YTD (Year to Date) : 연초 대비 증감률
- A/B 테스트 : 두 개의 변형 A와 B를 사용하는 종합 대조 실험
- CTR (Click-Through Rate) : 클릭률 (클릭 수/노출 수) - 광고가 클릭된 횟수를 광고가 게재된 횟수로 나눈 값
- 용어들
- 결론 도출: 데이터 분석에 있어 목표 설정은 매우 중요. 최종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선 지표(Metric)를 쪼개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Output Metric은 최종 Goal이라 할 수 있고 다수의 Input Metric을 투입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 각각의 OMTM(One Metric That Matters)을 설정 한 뒤, 설정한 지표들을 어떻게 쪼갤 수 있을지 고민해야한다. 추가로 쪼갠 Metric들이 올바르게 설정한 것인지 허영지표(Vanity Metric)을 걸러내야 한다.
- 용어들
- OMTM (One Metric That Matters) : 우리가 꼭 집중해야 하는 지표
- Vanity Metric : 허영지표, 보기에는 좋지만 실제 중요한 숫자들과 상관 없는 지표
- 용어들
[인사이트]
- 데이터 분석가는 내부 고객들에게 내부 데이터로 그들이 원하는 솔루션을 제안하거나 문제를 보여주는 업무를 진행한다. 때문에 데이터 분석가로 직무를 갖고 싶다면 해당 기업의 도메인과 일치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 데이터 분석가는 말 그대로 내부 고객에게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 구직시장에서는 경력직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내가 도메인을 변경해서 신입으로 입사하고자 한다면 해당 도메인의 회사에서 인턴 혹은 계약직을 통해서 경력을 쌓아야 입사할 수 있는 확률이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 나는 헬스케어(제약)에서 오랜 기간 근무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다른 도메인으로 변경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가 가고 싶은 도메인에 대한 사전 공부나 인턴/계약직을 통해서 타겟하는 도메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어찌보면 데이터 분석가로써 툴을 잘 다루는 역량 뿐만 아니라 도메인에 대한 경험을 확보하는게 중요해 보인다.
- 평소 가고 싶은 도메인의 트랜드를 기사를 통해서 익히고 해당 영역의 비지니스 감을 쌓아둬야 겠다.
- 해당 기사를 작성한 기자의 블로그에 공유 자전거 데이터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한 사례를 참조하면 좋을 듯 하다. (공유 자전거 데이터 분석1) (공유 자전거 데이터 분석2)
'[Data analyst] Today I Learn > 사전캠프 TIL (24.08.26~)'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캠프 TIL] (4) 2024.09.02 (0) | 2024.09.02 |
---|---|
[사전캠프 TIL] (2) 2024.08.27 (4) | 2024.08.27 |
[사전캠프 TIL] (1) 2024.08.26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