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학회

[Game & Tech Meet-up Day] 게임 전문가들과의 만남

pjw250 2024. 9. 29. 23:35

 

팀 스파르타에서 마련해준 게임 업계 임직원들과의 만남.

 

[1부 공통 섹션, 개발자의 기술 스택 및 포트폴리오 관리] - 이환희, 컴투스 NFT Biz 본부, NFT 개발 팀장

[ IT 업계로의 진입을 위해 필요한 역량들 ]

 

(1) 기술스택

 - 개발자가 사용하는 도구와 언어들을 의미

 - 유행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공부가 필요하다.

 - 다만, 기업의 규모가 클 수록 서비스 중인 제품이 많기 때문에 도구의 안정성이 높은 것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 신입지원 입장에선 다양한 도구를 다룰 수 있는 (다양성) 보단 내가 다루는 도구를 정확하고 논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먼저 기르는 것을 추천해 주심.

 * 시간에 따라 다양한 도구들이 나올텐데 기존 도구의 전문성이 충분히 갖춰졌다면, 새로운 도구가 나왔을때 잘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

 

(2) 포트폴리오

 - 내가 공부하고 습득한 것을 과제화 해서 결과물을 누적하는 것

 - 웹사이트나, 영상, github, PDF 문서 등으로 준비할 것

 - 신입지원자들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려면 오픈소스에 기어하거나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가 있고 확인할 수 있다면 면접관들이 제일 먼저 눈여겨 볼 것이다.

 - 포트폴리오는 구체적이면서 잘 요약되어 있어야한다. (프로젝트 기간, 인원, 역할, 결과물 등)

 - 취직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내가 배웠던 것을 잘 정리해둔 도서관이라고 생각해라. 책 한권 한권은 해당 프로젝트가 담길 수 있도록 카테고리화 할 것

 

(3) 무엇보다 인성이 중요함.

- 신입직원이 아무리 전문성이 뛰어나도 경력직과 현직에 몸담고 있는 실무진 보다 실무 능력은 떨어지는 것이 당연함.

- 때문에, 기술스택과 포트폴리오는 나의 역량을 어떻게 갈고 닦았는지 성실성과 배우고자 하는 자세를 보여준다.

- 중요한 것은, 협업 능력과 문제해결 능력 그리고 동료들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잘 기르고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면접관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도록 셜명해야 한다.

[2-1부 그룹 섹션, 게임개발에서 중요한 요소] - 신민수, 미라클플레이 COO

[실제 게임개발을 진행할 때 필요한 덕목]

 

(1) 게임을 개발하면서 나만 재밌어하고 있지 않는가?

 - 제일 중요한건 게임은 같이 개발하는 것이다.

 - 개발 시작과 끝의 큰 줄기는

  1) 주제와 컨셉 설정

  2) 개발 의도를 공감할 수 있는어야함

  3) 과제내부 마일스톤을 구체적으로 설계하여 일정과 목표를 준수 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함.

 

(2) 주제와 컨셉은 한 두줄로 정의할 수 있을 만큼 간결하고 명확해야한다.

 - (예시) 슈퍼마리오, 공주를 구하러가는 여정, 점프로 모험을 떠난다.

 - 주제 : 시놉시스 2~3줄

 - 컨셉 : 재미의 핵심이고 무엇을 기믹으로 둘지 정해야한다.

 

(3) 의도를 공감하고 이해시키기

 - PM, 즉,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정말 중요한데, 기획 의도를 항상 실무자 및 담당자들이 이해하고 모두가 공유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관리해야함.

 - "왜 해야하는지", "최고의 효율인지?". "의미 있는가?" 를 항상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독려하고 이끌어가야함.

 

(4) 명확한 목표와 마일스톤 설계 및 관리

 - 너무 긴 개발 기간은 의도를 잃고 자신만 이해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온다.

 - 중간 점검과 회의를 통한 의도 전달이 매우 중요하고 큰 줄기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이끌어 줘야함.

 - 당연히 일정관리 비용관리는 철저

 

 * 대표님께서 개인적으로 해주신 말들...

"실패한 원인 찾기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다른 성공한 케이스에서 insight를 찾아서 내가 개발하고 있는 과정 속에 녹여들 만한 것을 찾아라."
"뛰어난 사람 혼자서 모든 것을 개발하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협업과 소통이 중요하고, 회사의 의도를 항상 파악해라."

 

[2-2부 그룹 섹션, 데이터를 통해 ] - 남성필, AB180 대표

*** 사실 내가 제일 기대하던 섹션이였고, 장문의 사전 질문을 대표님께 보낸 상태였다.

[주의] 사실 나는 생명공학과 출신이라 마케팅 용어나 모바일 시장은 처음이라 해당 섹션에서 노트에 적은 내용들은 부정확할 수 있다. 아래 내용 중 잘못 기재된 사실이나 정보는 댓글 혹은 시정요청 시 수정하도록 하겠다. (물론 필자도 마케팅 공부를 통해서 수정되어야할 부분을 검토하고 변경하겠다.)

 

> AB180은 MMP(모바일 매니지먼트 파트너)로 광고 성과를 측정해주고 고객사의 수익화 모델을 예측하거나 설계하는데 도움을 주는 회사이다.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에어브릿지' 라는 분석 플랫폼을 고객사(의뢰사)에게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보인다. 매년? 정기 세미나/워크숍이 열린다.

 

> 대표님께서 2-2 그룹 섹션을 참석한 데이터 분석가 꿈나무들에게 추천 및 조언해 준 내용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 분석가? 수요가 큰 곳에서 역량을 쌓아라]

 

> 기업에서 데이터 분석가를 채용하고 활용되는 곳은 수익화와 직결되는 직군일 것이다.

> 모바일 게임 혹은 모바일 컨텐츠 관련 업계는 (1) 광고 성과 분석, (2) 수익화 예측, (3) 유저행동 분석을 베이스로 자사 매출을 예상하고 개선하고자 수 많은 시뮬레이션을 돌린다. 이때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

> 왜 하필 모바일이냐? 그것은 모바일은 출시 후 즉각적으로 유저의 행동이 나타 나고 하루에도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쏟아지는 레드 오션 속에서 자사 플랫폼에 대한 수익률을 빠르게 계산하고 예측하고 개선해야한다. 즉, life time이 빠르다는 것. 이것이 단점이자 장점이긴 하다.

> 고전적인 제조업, 물리적인 product를 생산해서 판매하는 업계는 제품 연구/개발 부터 허가 후 출시 그리고 판매량 집계 재고관리와 CS 를 통해서 내 제품에 대한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업계에 대한 설명과 트랜드 파악을 위한 꿀팁 그리고 알아뒀으면 하는 것들]

 

(1) 모바일 게임은 돈이 된다.

 > Andrew Chen - 링크드인 팔로우하고 매일 올라오는 insight를 읽고 공부할 것.

(2) 광고로 성장할 수 있다.

 > Nebojsa Radovic - 이분도 찾아서 팔로우 하고 업로드 되어있는 수 많은 정보들을 공부할 것.

(3) 게임은 대표적인 효자 수출 상품이다.

 > Cyprus, 같은 섬나라에서 엄청난 매출이 발생되고 있다. 이건 K-POP 수출량에 비하면 우수울 정도...

(4) 데이터 기반으로 잘 될 게임을 만들어야 한다.

 > CPI (설치 당 단가) 기준으로 나의 상품을 노출하고 수익화 모델을 만들 수 있어야한다.

 > 물론 게임성도 중요하다.

 > 액션핏 - 데이터 기반으로 어플 출시 중.

 > 요즘은 셀프 퍼블리싱이 대세

(5) 하이브리드 캐주얼, 미드코어가 주가 되는 중이다.

 > 캐주얼 (원 버튼 게임, 단순 게임) 에 RPG 요소를 추가한 것이 하이브리드 캐주얼 (쿠키런 같은)
 > 미드코어 방치형 키우기류

(6) 게임성 외에도 광고를 통한 UA 파악/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 유저행동을 파악해야 인앱 구매 광고 노출을 통한 수익성을 확인할 수 있고 그 밖에 게임 개발 방향을 정할 수 있음.

 > 게임 개발사도 결국 매출이 나와야 순항할 수 있다.

(7) 플레이어블 광고가 하이브리드 캐주얼의 핵심

(8) 숏폼 기반의 UGC가 급부상 중임

(9) 데이터 분석가는 이것을 할 줄 알아야 한다.

 > 수익화 영역 - 수익화 분석, 광고 분석, 하이브리드 수익화

 > 분석 대상 - 노출빈도, 노출 타이밍, 광고 가격... etc

(10) 새로운 기술을 잘 캐치해야 한다.

(11) 게임만 게임이 아니다 인터랙티브 게임도 게임이다.

 > 스파르타의 내배캠에서 운영되는 방식 - 수업에 경험치와 리더보드를 도입하여 성장하는 RPG 느낌을 살림

 > 다른 교육 플랫폼 앱에서 다른 교육생과 경쟁 혹은 점수를 모으는 방식으로 보상하고 재미를 느끼게 유도함.

(12) 데이터 분석가는 커머셜로의 이직도 쉽다.

 > 데이터 분석가는 사실 영역이 딱 정해져 있지 않아서 자신의 주 분석 대상에 따라 직군이 결정됨

(13) 글로벌 친숙도를 높혀라

 * 아래 기업/인플루언서들의 정보를 항상 주시하고 데이터 분석가로 써의 기반을 닦을 것.

 > Two & half gamers (Youtube)

 > A16Z Games

 > AB180 (Youtube)

 > HOMA Games 블로그

 > TILTing Point

 

 * 대표님께서 복도에서 개인적으로 해주신 말들...

"LTV 예측이 중요하다."
"수익화 개선을 어떻게 할 것인가?"
"프로젝트 경험을 포트폴리오에 반영할 것, 데브시스터즈 LTV 예측, NCSOFT sBG."
"수익 기획자로 국가별 수익을 확인하고 어떤식으로 자사 상품의 수익화 모델을 제안할 것인가?"